프랜차이즈 식당은 잘 찾지 않는다.
그런데 나무가 있는 집은 분당을 제외하고 대치동과 광화문점을 모두 방문해 본 결과 맛과 서비스 모두 나쁘지 않아 한 번 소개해 본다. 아래 사진은 대치동(강남점)에서 촬영한 것이다. 강남점의 위치는 포스코 사거리 근처의 대치동 맛집 골목 초입에 있고 광화문점은 서울역사박물관 인근에 있다.
이 집의 대표적인 메뉴는 곤드레밥이다. 한정식 집들이 대게 그렇듯 정식이라 해봐야 만들어 놓고 식은 반찬 쪼가리 몇 개 더 갖다 줄 뿐이고, 일품 요리는 비싸다. 점심 메뉴인 곤드레밥 하나만 먹어도 충분하다는 생각이다. 얻어먹는 자리거나 여윳돈이 생겼다면 말리지는 않는다. 사실 단품 요리가 꽤 맛있다.
곤드레밥이 나온 세팅이다. 이렇게 나온 밥은 따로 덜어서 먹고 뜨거운 물을 부어 누룽지와 숭늉을 즐기게 마련인데 곤드레가 들어 있으니 맛과 시각적으로 좋지 않다고 종업원이 만류한다.
강남 대치점의 호객용 입간판이다. 식재료를 실제 강원도에서 공수해 오는 것이 맞다고 한다. 화려한 입간판, "모범음식점"이라는 팻말에 나 혼자였으면 절대 들르지 않았을 곳이나 선배님들과 함께라 군말없이 방문했다가 맛을 보고 나서는 후회가 없었다.
가게입구 사진이나 메뉴판을 잘 찍지 않는데 음식이 나오는데 시간이 걸려 무료함을 달래기 위해 찍었던 듯 하다. 각자 곤드레밥과 명이보쌈을 주문하였으나 예약을 하지 않으면 오래 걸리고 심지어 이 날은 재료가 떨어졌다 하여... 아쉽지만 코다리 해물찜을 주문.
찬을 찍은 화질이 좋지 않다. 나물을 무친 반찬 위주로 나온다. 쓸데없이 과하지 않아 다행이다. 한정식이라 하는 곳에서는 먹지도 않은 반찬이 한 가득 나와 먹기도 전에 의욕을 상실할 경우가 많다. 어묵은 안 나왔으면 좋으련만 안 먹으면 되니 상관은 없다.
곤드레밥을 가장 맛있게 먹으려면 실제 강원도에 가서 현지 분들이 많이 찾는 식당에서 먹어봐야 어떤 게 진짜인지 알 수 있다. 서울에서는 각 지방의 요리 레시피를 훔쳐 서울 사람들의 입맛에 맞게 조미했기 때문이다. 한국화된 외국의 요리들이 다 그렇듯. 곤드레밥은 뭘 더 넣어서 맛을 좋게 할 여지가 없기에 맛의 편차가 크지 않아 서울에서도 맛있게 먹을 수 있는 듯 하다.
코다리 해물찜이다. 반주 한 잔을 하고 싶었으나 참았다. 양이 많지는 않다.
강남 대치점의 사장님은 탤런트. 직접 인사도 해주시고 참 친절했다. 광화문점은 위치가 위치인데다 외관도 특이한 편이어서 외국인들이 자주 찾는다. 다만 등산복을 입고 대낮부터 만취한 중년 일행들 때문에 눈쌀을 찌푸린 적이 있다.
'SINSIYA-음식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봉천동 - 부림식당, 냉동 삼겹살의 지존 (0) | 2013.01.19 |
---|---|
서울대입구 - 5000냥 포차, 주당들의 참새방앗간 (0) | 2013.01.16 |
사당역 - 프리바다다이닝, 패밀리레스토랑 보다는 훨씬 나은 스테이크를 맛본다. (0) | 2012.11.23 |
신대방, 보라매공원 - 동해바다, 자연산 막회에 빠지다 (2) | 2012.11.19 |
서울대입구 - 아우내장터 순대국, 진한 국물의 순대국으로 추위 극복! (0) | 2012.11.07 |
영등포 - 기꾸참치, 참치회 먹는 방법 (0) | 2012.10.24 |
서울대입구 - 삼미옥, 설렁탕과 수육이 맛있는 전통의 저력 (0) | 2012.10.23 |
홍대 - 타이엘리펀트, 태국 음식을 제대로 (0) | 2012.10.20 |